1차 6.27 대출 규제 이후 부동산 시장, 진짜 분위기는?

6.27 대출 규제 후 집값 하락
6.27 대출 규제 이후 부동산 시장, 진짜 분위기는?


2025년 6월 27일 시행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제 이후,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단 며칠 만에 급변하고 있습니다. ‘강남 불패’라 불리던 강남권 아파트마저 호가를 2억 원 이상 낮추는 사례가 속출하며, 현장에서는 “거래 문의가 뚝 끊겼다”는 이야기도 들려오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6.27 대출 규제가 어떤 변화들을 가져왔는지, 그리고 향후 우리가 주의 깊게 살펴야 할 부동산 흐름은 무엇인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대출 규제, 왜 분위기를 바꿨나?


기존에는 9억~12억 원대 아파트를 사기 위해 대출을 8억 원 이상까지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규제로 인해 주담대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며, 수요자들의 실탄이 급감했습니다.


예를 들어 마포구 12억 원짜리 아파트를 보겠습니다. 기존엔 8억 4천만 원까지 대출 가능했지만, 이제는 6억 원만 가능해졌습니다. 결과적으로 수요자 입장에서 자기자본 2억 4천만 원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 것입니다. 이는 중산층 실수요자 입장에서 매우 큰 부담입니다.



강남 아파트, 호가 최대 2억 원 하락


가장 먼저 반응한 지역은 서울 강남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잠실 엘스는 하루 만에 호가가 2억 원 하락했습니다. 원래 35억 5천만 원에 매물로 나왔던 물건이, 6월 27일 발표 직후 33억 5천만 원으로 급하락했습니다.


그 외 잠실의 대부분의 아파트들이  일제히 호가를 낮추며, 대출 규제가 실제 거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장 중개업소 반응은?


서울 마포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규제 전에는 하루 10통 이상 매수 문의가 왔는데, 6월 28일 하루 동안 단 2통의 전화만 받았다”며, 그마저도 매도자 문의였다고 전했습니다.


분당, 용산 등 수도권 인기 지역 중개업소에서도 매수세가 급격히 줄었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현장에서도 규제의 여파를 체감하고 있는 것입니다.



10억 원 이하 주택에 풍선효과 우려


이번 규제가 모든 가격대의 주택에 동일한 영향을 준 것은 아닙니다. 10억 원 이하 주택의 경우 대출 가능액이 규제 전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0억 원 아파트의 경우 기존에는 7억 원가량 대출이 가능했는데, 규제 이후에도 6억 원까지는 여전히 대출 가능합니다. 그래서 10억 원 이하 실수요 매물이 풍선효과로 수요가 몰릴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정부, 추가 규제 가능성 열어둬


정부에서는 이번 규제외에도 공급 정책, 수요 정책 등 많은 정책이 남아있다고 했습니다. 만약 10억 이하 매물이 다시 가격 상승세를 보인다면, 정부는 대출 한도를 5억 이하로 더 줄이는 추가 규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제 피난처처럼 무작정 매수로 달려들기보다는, 현명한 매수 타이밍을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금매물에 주목해야 할 시점


현재 시장에서는 거래량이 급감하며, 일시적으로 금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실제로 집주인들이 ‘지금이 고점’이라 판단하고 급매로 전환하는 사례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관련 동영상 보기


마무리하며: 지금은 '관망'의 시간


시장에는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무리한 매수보다는 시장의 흐름을 관찰하며, 매물 중심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2025년 하반기 이후, 근매물이 쏟아질 시점에 진입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단 실수요자들은 적절한 시기에 급매물 위주로 관심을 가지고 대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은 단기 반등이나 상승 기대보다 위험 관리와 실속형 매수 전략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정부의 정책 방향과 시장 분위기를 면밀히 살펴보며, 적절한 투자 판단을 내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관련 뉴스 보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