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는 한순간의 방심으로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악성 공격입니다.
하지만 감염이 확인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대응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안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랜섬웨어 제거 및 복구 8단계 가이드와 예방 수칙, 그리고 자주 묻는 질문(FAQ)을 정리했습니다.
![]() |
랜섬웨어 걸렸다면? 지금 당장 해야 할 8단계 제거·복구 비법! |
랜섬웨어에 감염되었다면?
랜섬웨어 긴급 대처 8단계
1️⃣ 장치 격리
랜섬웨어 감염이 의심되면 즉시 인터넷 연결을 차단해야 합니다. 와이파이·이더넷 연결을 해제하고 USB·외장하드 등 외부 저장 장치를 분리하여 네트워크 확산을 막습니다.
2️⃣ 랜섬웨어 변종 식별
몸값 지불 메시지나 파일 확장자(.locky, .cerber 등) 변화를 확인합니다. ID Ransomware 사이트에 메시지나 암호화된 파일을 업로드하면 변종을 판별하고 복호화 가능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3️⃣ 안전 모드 부팅
Windows를 안전 모드(Safe Mode)로 부팅해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차단합니다. Windows 10/11에서는 Shift 키를 누른 채 재시작 →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안전 모드를 선택하세요.
4️⃣ 보안 도구 실행
안전 모드에서 최신 업데이트된 보안 툴을 실행하세요. Malwarebytes Anti-Malware, HitmanPro, Windows Defender, Kaspersky Ransomware Decryptor 등이 대표적입니다.
5️⃣ 복호화 도구 활용
일부 변종은 복호화 도구로 파일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No More Ransom 사이트에서 랜섬웨어 이름이나 암호화된 파일을 업로드해 무료 복호화 툴을 확인하세요.
6️⃣ 수동 삭제 (고급)
자동 제거가 되지 않을 경우 작업 관리자(Ctrl+Shift+Esc)에서 의심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시스템 내 관련 파일을 직접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 잘못 삭제 시 시스템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숙련자에게 권장됩니다.
7️⃣ 파일 복원
랜섬웨어 제거 후 백업에서 복원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Google Drive, OneDrive, Dropbox), Windows 파일 히스토리, 외장 하드 백업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8️⃣ 운영체제 재설치
모든 방법이 통하지 않을 경우 OS를 새로 설치해야 합니다. Windows 설치 USB/DVD로 부팅 후 새로 설치를 진행하세요.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므로 중요한 파일은 반드시 백업해야 합니다.
🔐 사전 예방 수칙
- 보안 소프트웨어 항상 최신 업데이트
- 방화벽 활성화
- 주기적인 백업 (클라우드/외장 저장장치 활용)
- 운영체제·브라우저·앱 최신 패치 적용
- 의심 메일·첨부파일·링크 클릭 금지
🙋 랜섬웨어 FAQ
Q1. 랜섬웨어에 감염되었다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하나요?
A. 즉시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세요. 와이파이·이더넷 연결을 해제하고, USB·외장하드 등 외부 저장 장치를 분리하여 네트워크 확산을 방지합니다.
Q2. 어떻게 랜섬웨어 변종을 식별하나요?
A. 몸값 메시지나 특이한 파일 확장자를 확인하세요. ID Ransomware에 메시지나 암호화된 파일을 업로드해 변종과 복호화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3.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안전 모드에서는 불필요한 프로세스 실행이 차단돼 랜섬웨어 활동이 줄어듭니다. Windows 10/11은 Shift+재시작 후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안전 모드 진입을 선택합니다.
Q4. 어떤 보안 도구를 쓰면 되나요?
A. Malwarebytes Anti-Malware, HitmanPro, Windows Defender, Kaspersky Ransomware Decryptor 같은 신뢰성 있는 보안 도구를 최신 상태로 실행하세요.
Q5. 복호화가 가능한 랜섬웨어도 있나요?
A. 일부 변종은 무료 복호화 도구가 제공됩니다. No More Ransom 사이트에서 변종명을 검색하거나 암호화된 파일을 업로드해 복호화 툴 여부를 확인하세요.
Q6. 자동 제거가 안 되면 어떻게 하나요?
A. 작업 관리자에서 의심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시스템 내 랜섬웨어 파일을 직접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 고급 지식이 필요하며 위험을 수반합니다.
Q7. 파일은 어떻게 복구하나요?
A. 감염 제거 후 백업에서 복구하세요. 클라우드 서비스, Windows 파일 히스토리, 외장 하드 드라이브 등 다양한 백업 수단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Q8. 최후의 수단은 무엇인가요?
A. OS 재설치입니다. Windows 설치 USB/DVD로 부팅 후 새로 설치를 진행하세요. 이 과정에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반드시 사전 백업이 필요합니다.
Q9. 예방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요?
A. 보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화벽 활성화, 정기적 백업, 최신 패치 적용, 의심 메일·링크 주의가 필수입니다.